분류 전체보기(90)
-
python_05
#1.2.9 f문자열 name, age ='홍길동', 30 print("%s %d" % (name,age)) # %문자열 : ("%" % ()) print("{},{}".format(name,age)) # .format()함수 ("{}" .format()) print(f"{name},{age}") # f문자열 (f"{}") print("\n") print(f'{"python" :10}') # 문자열로 인식 print(f'{"python" :>10}') # >우측정렬 print(f'{"python" :^10}') # 10칸 확보후 가운데 정렬 print("\n") #홍길동씨의 과목별 점수는 다음과 같다. 홍길동씨의 평균 점수를 구하는 소스 #과목/점수 국어/85 영어/75.2 수학/98.5 a,b,c = ..
2021.01.28 -
python_04
# 1.2.8 .format() 함수 # %문자열과 .format() 함수의 비교 print('koreait %d년 1월 28일' % 2021) print('koreait %{0}년 1월 28일' .format(2021)) a = "koreait % {}년 1월 28일" #{}인 숫자는 생략가능하다. print(a.format(2021)) a,b,c, = 2021,1,28 print('koreait {}년 {}월 {}일' .format(a,b,c)) print('koreait {0}년 {1}월 {2}일' .format(a,b,c)) print('koreait %d년 %d월 %d일' % (a, b, c)) #문자열 포맷을 이용한 표현 age=200 print('홍길동님의 나이는 %d 입니다.' % age)..
2021.01.28 -
python_03
# 1.2.7 문자열 슬라이싱 # %문자열 #문자열 포맷코드 %d 정수 %s 문자열 %c 문자 %f 실수 %b 2진수 %o 8진수 %x 16진수 print(0b1101010001110001) bin1 = 0b1101010001110001 bin2 = 1101010001110001 # print("\n" % ) 디폴트 print("%d\n" %bin1) print("%d" %bin2) heax = 0x3D5F print("%d\n" %heax) dec= 1024 print("%x\n" %dec) a,b = 3452, 5786 exam = a+b print("%x\n" %exam) heax1=0x5C90 oct1=0o652 ho = heax1+oct1 print("%d\n" % ho) a= "korea_it..
2021.01.27 -
python_02
#1.자료형 #1.2 문자열 #1.2.1 문자열 유형(문자와 문자열은 따로 구분하지 않고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를 모두 사용) # 큰 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# "samadal" # 작은 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# 'samadal' # 큰 따옴표 3개를 써서 양쪽 둘러싸기 # """samadal""" # 작음 따옴표 3개를 써서 양쪽 둘러싸기 # ' ''samadal'' ' #1.2.2 실습 food = "python's favorite food is perl" # food2 = 'python's favorite food is perl' 단일 따옴표 사용불가 print(food) # python은 변수명을 출력할 때는 따옴표로 묶지 않는다. 묶을시 food가 출력 # print(food2) print("py..
2021.01.27 -
python 간단 문법 예제 정리_01
''' * 주석 # 한줄 주석 '' ' ~ '' ' : 다중주석 1.자료형 1.1숫자형 1.1.1 정수형 ''' # print(1+2) # print(3/2.4) # print(3 *9) a =123 # a가 123이다 라는 뜻이 아니라 123이라는 값을 a라는 이름에 대입해라 라는 뜻이다 여기서 a를 변수라고 하고 123을 값이라고 한다. b = -178 a,b = 123, -178 # 이렇게 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. print(a, b) # print 함수는 인수를 함수 안에 있는 인수를 모니터로 출력할 떄 사용한다. 123 -178 print(a+b) # -55 print(a-b) # 301 print(a/b) # -0.6910112359550562 print(a*b) # -21894 print(a..
2021.01.27 -
정보보안기사 정리 2020.12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