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(18)
-
python_12
# 다음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활용해서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코딩 # x,y,z ='100',10.5,20 #결과 1 :110.5 결과2 :10020 결과3 :10.520.0 x='100' y=10.5 z=20 x= int(x) num1 = x+y print(num1) num2= x*x sum = num2+z print(sum) print(str(y)+str(z)+str('.0')) #제어문 if문 ##단일 if문 , 다중 if 문 ### if 조건문: # 수행할 문장1 # 수행할 문장2 a= True b= False if a: print("good") # 같은 조건문에 따른 출력이 같기 떄문에 일렬로 정렬을 해야 하고 내어쓰기 또는 들여쓰기를 할 경우 같은 열에 있기만 하면 된다. print("..
2021.01.29 -
python_11
# 변수 (고정변수) a= [1,2,3] print(a) b = a[:] print(b) from copy import copy print(copy(a)) print(copy(b)) # 가변 변수 # var= input('값을 입력하세요') # print(var) # var = input('값을 입력하세요') # # print("입력한 값은 %d\n" % var) # print("입력한 값은 %s\n" % var) # # print("입력한 값은 %f\n" % var) # print("입력한값은{}".format(var)) # print(f"입력한값은{var}") # print(type(var)) # input 값은 str(문자열)이다. var1 = input('문자열 값을 입력하세요') var2 = i..
2021.01.29 -
python_10
# 자료형 #1.5 딕셔너리 #개요 묵음이 {}이 되어 있고 {'key1':'value1','key2':'value2'} #연산시 입력한 순서대로 출력하지 않고 key를 통한 값을 호출한다. dic = {'name':'jone','number':"010-0000-0000",'phone':"iphone"} dic2= {1:'apple'} dic3={'a':[1,2,3]} print(dic) print(dic2) print(dic3) print(dic['name']) print(dic2[1]) print(dic3['a']) #print(dic['jone']) # KeyError: 'jone' 키를 대신하여 호출인자로 사용할 수 없다. a = {1:'a'} # 딕셔너리 선언(생성) print(a[1]) # 딕..
2021.01.29 -
python_09
# 자료형 #1.4 튜플 #1.4.1 개요 리스트와 거의 모두 동일하다 다만 묶음이 소괄호()로 되어 있다 또한 값의 수정 삭제 생성등이 불가능하다. #문자열(%,.format,f) ,딕셔너리 자료형 {} 리스트 [] 튜플자료형() #1.4.2 유형과 특징 t1=() t2=(1,) t3 =(1,2,3) t4=1,2,3,4 t5=('a','b',('ab','cd')) #t6 = (1, 2, 'a', 'b') # print(t6) # t6[0] = 4 # print(t6) # TypeError: 'tuple'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(수정불가) #del t6[0] # TypeError: 'tuple' object doesn't support item deleti..
2021.01.29 -
python_08
# 자료형 #1.3 리스트 ( 컴퓨터 언어에서의 배열과 유사) # 기본형태, 리스트 인덱싱(단일 인덱싱), 리스트 인덱싱(다중 인덱싱) ,리스트 슬라이싱 ,리스트 연산 ,형 변환 ,수정 변경 삭제 #리스트명 = [요소1 ,요소2,] #a=[] , b=[1,2,3], c=['apple','age'] d=['apple','1'] e=[1,2,['live','is']] a = [] b = [1, 2, 3] c = ['apple', 'age'] d = ['apple', '1'] e = [1, 2, ['life', 'is']] print(f'{a,b,c,d,e}') print("\n") print(a,b,c,d,e) print("\n") print('{0}{1}{2}{3}{4}'.format(a,b,c,d,e))..
2021.01.28 -
python_07
#1.2.11 변수의 유형 판단 var1,var2,var3 = '1', 1, '1.0' # 문자열 정수 실수 print('문자열[{0}],정수[{1}],실수[{2}]'.format(var1, var2, var3)) print('{}' .format(type(var1))) print('{}' .format(type(var2))) print('{}' .format(type(var3))) var1, var2, var3 = '1', 1, '1.0' # 문자열 정수 실수 var1, var2, var3 = int(var1), float(var2) , str(var3) # 변수 변환 함수 print("\n") print('{}'.format(type(var1))) print('{}'.format(type(var2))..
2021.01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