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 간단 문법 예제 정리_01
'''
* 주석
# 한줄 주석
'' ' ~ '' ' : 다중주석
1.자료형
1.1숫자형
1.1.1 정수형
'''
# print(1+2)
# print(3/2.4)
# print(3 *9)
a =123 # a가 123이다 라는 뜻이 아니라 123이라는 값을 a라는 이름에 대입해라 라는 뜻이다 여기서 a를 변수라고 하고 123을 값이라고 한다.
b = -178
a,b = 123, -178 # 이렇게 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.
print(a, b) # print 함수는 인수를 함수 안에 있는 인수를 모니터로 출력할 떄 사용한다. 123 -178
print(a+b) # -55
print(a-b) # 301
print(a/b) # -0.6910112359550562
print(a*b) # -21894
print(a % b) # 나누기가 아니라 나머지를 이야기함 -55
print("\n")
#1.1.2 실수형
a,b,c,d = 1.2,-3.45,4.24E10,4.24e10
print(a, b, c, d) # 1.2 -3.45 42400000000.0 42400000000.0
print(a+b) #- 2.25
print("\n")
# 1.1.3 8진수 16진수
e,f,g = 0o177,0x8ff,0xABC #8진수(Octal) 16진수(hexa)
# 10진수(decimal or 바이너리)
print(e, f, g) # 127 2303 2748
print("\n")
#1.1.4 실습
a,b,c,d = 3, 4, 7, 3
print(a+b) #7
print(a-b) #- 1
print(a/b) #0.75
print(a*b) #12
print(a ** b) #3의 4승
print("\n")
print(a % b) # 값은 3 이며 3을 4로 나눈 나머지(나눌 수가 없기 떄문에 나눌 숫자를 바로 출력)
print(b % a) # 값은 1 이며 4를 3으로 나눈 나머지
print(a // b) # 값은 0 3을 4로 나눈 몫(나눌 수가 없기 때문에 0이 출력)
print(b // a) # 값은 1 이며 4를 3으로 나눈 몫
print("\n")
print(c % d) #1
print(d % c) #3
print(c // d) #2
print(d // c) #0
e,f = 14,15
g = e % 2
print('주어진 값의 나머지는',e%2,'가 된다.')
print('주어진 값의 나머지는', g, '가 된다.')